Home경제지멘스 가메사(Simens Gamesa): 해상풍력 터빈 1위 사업자

지멘스 가메사(Simens Gamesa): 해상풍력 터빈 1위 사업자

지멘스 가메사(Simens Gamesa) / 상장코드: SGRE.SM / 시가총액(조원): 16.7

기업 개요

  • 지멘스 가메사는 해상풍력 터빈 1위 제조사로 1991년 세계 첫 해상풍력 단지에 터빈 납품.
  • 해상풍력 터빈은 육상과 다른 자연환경에서 가동되기 때문에 추가 설비 필요. 바다 위로 발전기를 받쳐주는 하부구조물, 부식 코딩 등 필요. 추가 투자비가 소모되는 반면 과거엔 터빈 기술력 부족으로 경제성 확보가 어려웠음.
  • 글로벌 설치된 풍력 터빈의 평균 용량은 3MW인 반면 지멘스 가메사는 올해 15MW급 터빈을 시범 가동 시작. 경쟁사들도 12MW 이상 제품을 선보이는 중이나 판매 실적은 저조한 상황.
  • 해상풍력 시장은 터빈기술 개발에 따라 급성장 전망. 연간 신규 터빈 수요 중 해상 비중은 2018년 4.4%에서 2023년 13.1%로 확대. 해상풍력 시장은 유럽 중심에서 최근 미국, 아시아로 확산 중. 지멘스 가메사는 이미 판매하는 터빈의 25% 가량이 해상용.
  • 재생에너지 시대 도래하며 에너지 저장 수단으로 수소산업 동반 성장 중. 친환경 수소를 생산하려면 재생에너지 필요하며 해상풍력이 적합한 발전원으로 부상. 계열사인 지멘스-에너지와 협력해 해상풍력+수소 프로젝트 진행.
지멘스 가메사 2019~2023F 실적 전망
지멘스 가메사 2019~2023F 실적 전망
Siemens-Gamesa 항목별 매출 구성
Siemens Gamesa 항목별 매출 구성
지멘스-가메사 12개월 선행 PER 밴드
지멘스-가메사 12개월 선행 PER 밴드

해상풍력 터빈 1위 사업자

  • 지멘스 가메사는 1991년 세계 첫 해상풍력 발전소에 터빈을 납품한 후 해상풍력 터빈 1위의 지위를 유지하는 중.
  • 해상 터빈은 대용량 제품이 필요. 바다위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 투자비가 추가로 필요해 대용량 터빈으로 많은 전력을 생산해야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
  • 터빈 제조역량은 글로벌 1위이며 베스타스의 해상풍력 매출 대비 1.5배 가량 높음.

S-Energy와 그린수소 협업

  • 지멘스는 독일의 대표 제조업체로 다양한 에너지 솔루션 보유. 풍력 부문이 지멘스 가메사이며 에너지 부문은 지멘스 에너지. 에너지는 최근 수소 성장전략을 채택하고 수전해 설비 확산 중.
  • 수전해 설비는 물을 전기 분해해 친환경 수소를 제조하는 기계로 친환경 전력 사용이 필요. 해상풍력은 재생에너지 중 가동률이 높은 특성이 있어 수전해 설비 가동에 적합. 지멘스 에너지와 수소 프로젝트 협력해 안정적인 터빈 납품 기대.

해상풍력 시장 2023년부터 개화

  •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 공조가 이뤄지며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 속도도 가팔라지는 중. 글로벌 설치된 터빈의 평균 용량은 3MW 수준이나 지맨스 가이사의 신규 해상풍력 터빈 용량은 15MW.
  • 해상풍력 시장은 2023년부터 급격히 성장할 전망. 연간 신규수요 중 해상 비중은 2018년 4.4%에서 2023년 13.1%로 전망. 시장 본격화와 함께 해상풍력 1위 사업자에 수혜 기대.
지멘스 가메사 수주잔고
지멘스 가메사 수주잔고
Siemens Gamesa의 해상풍력 연계 그린수소 생산
Siemens Gamesa의 해상풍력 연계 그린수소 생산
급성장 기대되는 해상풍력 시장
급성장 기대되는 해상풍력 시장
RELATED ARTICLES

Latest